역시나 재테크에 관심이 많은 지리산마법사입니다....
오늘은 주식의 기본 최소한으로 알아야할 사항들 인데요.
바로 알아봅시다!
주식시장에는 크게 KOSDAQ 과 KOSPI 가 있습니다.
KOSPI 는 중견, 대기업 위주
KOSDAQ 은 벤처, 중소기업 위주
코스닥 상장 조건 ( 상장 = 주식시"장" 에 등록 한다. )
코스피 상장 조건
규모면에서 엄청난 차이가 납니다.
기본적으로 수익 위주면 코스닥
안정성 위주면 코스피 위주로 투자합니다.
그리고 투자 시 주로 차트를 보거나
재무재표 정도는 봐야
그 주식의 특징을 파악 할 수 있는데요
예제는 국민 주식 하이닉스로 차트는
하루, 주, 달, 단위로 추세선을 그린
일봉, 주봉, 월봉이 있습니다.
이런식으로 나오는데 어질어질 할 거예요.
일단 빨간거랑 파란거의 의미를 보자면
얘들은 그때 그때의 변화량을 보여주는 것인데,
왼쪽에 빨간 타입을 양봉 이라고 하고, 오른쪽은 음봉 이라고 한다.
양봉은 종가가 시가보다 높은 것이다.
즉 주식이 올랐다는 이야기
음봉은 종가가 시가보다 낮은 것이다.
즉 주식이 내렸다는 이야기
고가 = 그날 가장 높은 가격
저가 = 그날 가장 낮은 가격
종가 = 장이 마감 되었을 때 가격
시가 = 그 날의 시작 가격
그리고 이동 평균선일이라는게 보일텐데
이것은 5일, 20일, 60일, 120일
단위로 종가를 평균한 값입니다.
알기 쉽게 이해해 보자면 주말 이틀은 쉬니까 일주일,
한달, 분기(3개월), 반기(6개월)의
주식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5일 이동 평균선 : 일주일 동안의 심리선.
이게 변동이 많다면 세력이 붙었다는 이야기
20일 이동 평균선 : 한달 동안의 심리선.
60일 이동 평균선 : 분기 동안의 심리선.
기업이 보통 분기단위인걸 감안하면 다음
분기 실적을 예고하는 참고자료가 됩니다.
120일 이동 평균선 : 반기 동안의 심리선.
반기의 경기를 이해하는데 도움됩니다.
즉 투자자의 성격에 따라서 추세선을 잘 파악하는게 중요.
그리고 꼭 재무재표도 같이 봐주는게 좋은데
상장된 회사의 재무제표는 DART를 이용하면 됩니다.
국민주식 하이닉스의 반기 보고서를 딱 열어보면
이렇게 재무 제표를 열어 볼 수 있다.
이렇게 딱 나와 있으면 겁먹기 쉬운데
사실 큰 그림만 이해하면 됩니다.
자산 = 자본 + 부채
자본 = 유동 자산 + 비유동 자산
부채 = 유동 부채 + 비유동 부채
유동이란 것은 1년내에 라고 해석하면 되고,
비유동이란 것은 1년 이후에 라고 해석하면 쉽습니다.
유동 자산은 1년내에 현금으로 될 수 있는거
비유동 자산은 아닌거
유동 부채는 1년내에 갚아야 하는거
비유동 부채는 아닌거
그리고 손익 계산서도 있는데 여기서는
당기 순이익과 매출액 정도 보면 됩니다.
그래서 이런 숫자들 가지고 각종 지표를 뽑아내는데
네이x파이낸스 같은데를 가면 아래와 같이 잘 정리가 되어 있고
우리는 그저 이것들의 의미만 알면 되는데요.
투자 시 의미있는 정보들을 추려보자면
PER ( Price Earning Ratio ) 주가 수익 비율
-주식이 순이익에 비해 몇배의 가격에 팔리고 있는가?
-주가 / 주당 순이익
-PER 10이라면 순이익의 10배 값에 팔린다는 말
-PER 10 이면 적극 매수 고려, 10~25 보통, 25이상이면 조심
EPS ( Earning Per Share ) 주당 순이익
-한 주당 얼마를 벌어들이는가?
-순이익 / 발행 주식 수
BPS ( Book - value Per Share ) 주당 순자산
- 순자산만으로 볼 때 한 주의 가격이 얼마여야 적당한가?
- 순자산 / 발행 주식 수
PBR ( Price / Book - value Ratio, 주가 순자산 비율 )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가?
-주가 / 주당 순자산
-PBR이 1인 경우 주가와 순자산이 같은 경우이고, 낮을수록 저평가 되어 있다는 뜻
ROE ( Return On Equity ) 자기 자본 수익률
-회사돈을 얼마나 잘 굴려서 이익을 내고 있는가?
- 순이익 / 총자본
ROA ( Return On Asset ) 총자산 수익률
-부채 포함한 호회사돈을 얼마나 잘 굴려서 이익을 내고 있는가?
-순이익 / 총자산
- ROE 와 ROA 차이가 클수록 빚이 많다는 이야기.
빚이 많아지면 ROE가 올라간다.
유보율 ( Reserced Ratio )
- 자본금 대비 얼마만큼의 돈을 적립해 두었는가?
-잉여금 / 납입 자본금
부채비율 ( Debt Ratio )
-부채가 얼마나 되는가?
-부채 / 총자본
다른건 몰라도 내가 투자대비 얼마나 뽑을 수 있는가의
지표인
ROE
와 빚이 얼마나 있는지
빚이 늘고 있는지 줄고 있는지를, 볼 소 있는 부채 비율과
일이 있을 때 얼마나 버틸 수 있는 체력이 있는지를 보여주는
유보율은 체크하고 덤벼야
굶어죽지 않습니다!
이렇게 주식 기본 지식 및 투자 방법 등 기초 인데요.
하지않는게 제일 좋겠죠....?
'재테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 전세 대출 총 정리 (0) | 2019.12.06 |
---|---|
직장인을 가난하게 만드는 습관 / 소비습관 방법 (0) | 2019.12.04 |
★중소기업 전세자금대출 정리글 ★ (0) | 2019.12.03 |
ISA 저축은행 투자 방법/시드머니 만들기 *우리은행 어플 (0) | 2019.11.29 |
정부지원/청년지원/신입생 지원 한눈에 알아보기! (0) | 2019.11.15 |